목록Etc (51)
불친절한 블로그

http://localhost:5000/ 로 서버세팅을 한 후에 먼저 GET 방식으로 호출을 해보려고 코드를 app.py에 작성해보았다. 이후 postman으로 서버 주소와 app.route를 적어준다. http://localhost:5000/data/get 성공적으로 값이 왔으면 success 값이 출력 될 것이다. GET 방식은 url 뒤에 데이터를 붙여 통신하기 때문에 그 예제에 대해 실습해보았다. 코드를 작성하고, 내가 원하는 데이터 'bast_data'를 url에 붙여서 호출한다. postman으로 결과값을 확인하면 내가 url에 붙여준 데이터가 성공값으로 출력된다. 이번엔 POST 방식으로 값을 받아보려고 한다. POST는 JSON 형식으로 따로 값을 만들어서 보내준다. url 뒤에 붙는 데이..

Build Tools 을 설치해준다. visualstudio.microsoft.com/ko/vs/older-downloads/ Visual Studio Older Downloads - 2017, 2015 & Previous Versions Download previous versions of Visual Studio Community, Professional, and Enterprise softwares. Sign into your Visual Studio (MSDN) subscription here. visualstudio.microsoft.com Microsoft Build Tools 2015 업데이트 3 다운로드 선택 성공적
상황 : AWS ec2 인스턴스를 구성해서 서버로 jupyter lab을 모두가 사용할 수 있게 환경을 만들어놓았다. 어느 순간 jupyter lab이 뻗었다. 너무 많은 부하를 줘서 그렇다고 판단해서 인스턴스를 재부팅하고 다시 jupyter lab을 실행하였다. jupyter lab를 재실행한지 얼마 안되서 서버가 끊겼다. 원인 : aws 인스턴스 cmd 창을 종료하면 당연히 실행중인 jupyter lab이 종료된다...... 해결방안 : jupyter lab을 백그라운드로 돌려준다....

kubernetes.io에 접속하니 각종 설명들이 있고, 튜토리얼을 누르니 직접 쿠버네티스를 구동해볼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 있었다. minikube 버전을 확인하고, minikube를 실행해보았다. 클러스터 정보, 상세정보를 확인한다.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보듯이 클러스터 노드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쿠버네티스를 직접 시현해봄으로써 좀더 쿠버네티스를 이해하기 쉬워질 것 같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 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쿠버네티스는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를 모두 용이하게 해준다. 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쿠버네티스 서비스, 기술 지원 및 도구는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 설명만 봤을때는 확 와닿지 않는다. 뭔가 어디서나 쉽게라고 표현 하는데 왜 쉬운지 자세히 알아보려했다. Traditional Deployment 서비스를 띄우기 위해서 한 물리 서버에서 여러개의 서비스를 올렸을 때, 서비스들의 리소스 한계를 알 수 없어서 리소스 할당의 문제가 발생했다. 예로 한 서비스가 리소스 차지를 높게 하면 다른 서비스 성능이 저하된다. 이의 해결방안으로 여러 물리 서버를 구성하..
Container Orchestration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 네트워킹을 자동화합니다. 수백 또는 수천 개의 Linux® 컨테이너와 호스트를 배포하고 관리해야 하는 기업에서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어디에 사용되나요? 프로비저닝 및 배포 설정 및 스케줄링 리소스 할당 컨테이너 가용성 인프라 전반의 워크로드 밸런싱을 기반으로 컨테이너 스케일링 또는 제거 로드 밸런싱 및 트래픽 라우팅 컨테이너 상태 모니터링 실행될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설정 컨테이너 간 상호 작용의 보안 유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 종류 kubernetes, Docker Swarm, Apache Mesos, AWS ECS Workload 워크로드는 쿠버네티스에서 구동..

운영중인 서버 pc를 재부팅해야해서 재부팅을 하고 서비스들을 살리려고 하면서 상황이 발생했다. /usr/lib/postgresql/11/bin/pg_ctl start -D /var/lib/postgresql/11/[dir_name] 처음엔 권한 문제인줄 알고 sudo 명령어를 썻지만 해결되지 않았다.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봤지만 해결하지 못해서 상황을 잘알고 있는 지인에게 도움을 요청했더니 DB를 여러개로 나눌때 계정을 다른 계정으로 설치 진행해서 권한이 달라서 안되는 것 같다고 연락을 받았다. 바로 적용. # root 계정으로 접속 su root #패스워드 입력 # 설치당시 계정으로 접속 su postgres # 서비스 실행문구 입력 /usr/lib/postgresql/11/bin/pg_ctl start..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것들은 뭘까? 데이터는 패턴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의사 결정할 때 데이터의 인사이트를 파악하는 게 중요 의외로 유용한 인사이트는 굉장히 간단하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어떻게 사용할까도 아니고, 수리 통계학을 이용해서 데이터 특성을 반영한 멋진 수식과 모델을 세우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의 측정시기와 배경조사, 본질 파악, 오류 가능성, Feature 엔지니어링, 전처리 등 디테일과의 싸움의 연속과 맞닥뜨리게 될 것이다. 가설 > 실험 > 검증,분석,요약으로 이어지는 통계 분석적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실은 가설 하나 건지기도 녹록지 않다. 진정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우리는 관심사(목표)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을 시작으로 위에서 언급한 단계를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