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친절한 블로그
[FEMS] AWS EC2에 MariaDB, InfluxDB 띄우기 본문
이전 글에서는 로컬에 각각 mariadb와 influxdb를 띄우는 작업을 했다.
https://onu0624.tistory.com/171
[FEMS] InfluxDB loacl에 세팅하기
InfluxDB를 설치할때 가장 쉬운 방법은 docker 설치라고 한다. 나는 윈도우다.docker desktop을 설치해준다. 다운로드에서 Windows - AMD64를 선택AMD64랑 ARM64랑 뭘 선택해야하는지 헷갈렸지만 검색해보니까
onu0624.tistory.com
https://onu0624.tistory.com/175
[FEMS] MariaDB 세팅하기
local에 MariaDB를 설치하고,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려한다.Docker로 설치할꺼여서 이전 글중에 docker desktop 설치하는 부분을 한번 보고 오면 좋다.https://onu0624.tistory.com/171 [FEMS] InfluxDB loacl에 세팅하
onu0624.tistory.com
로컬에 작업하고 나서 개인이 일할때는 불편함이 없다가
협업을 하게 되면서 외부에서 접근하기 힘들어져서
AWS에 작업을 하게되었다.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하나 만들어준다.
Amazon Linux 2023으로 인스턴스를 만들어줬다.
Amazon Linux 2023에서는 install을 할때 dnf를 사용했다.
도커를 한번 설치해보자.
우선 update를 한번 해주고 도커를 설치한다.
$ sudo dnf update -y
$ sudo dnf install -y docker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도커를 실행해지고
부팅이 될때 자동으로 도커를 실행하도록 한다.
$ sudo systemctl start docker
$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완료되었다면 도커 버전을 확인해보자
$ docker --version

이제 influxdb를 설치한다.
협업을 위해 버전을 2.7.10으로 맞췄다.
$ sudo docker pull influxdb:2.7.10

설치받은 influxdb를 실행한다.
$ sudo docker run -d --name=influxdb -p 8086:8086 -v influxdb-storage:/var/lib/influxdb2 influxdb:latest

실행한 influxdb가 잘 실행되었는지 컨테이너를 확인한다.

이제 mariadb를 설치한다.
$ sudo docker pull mariadb

실행한다.
$ sudo docker run -p 3306:3306 --name mariadb -e MARIADB_ROOT_PASSWORD=1234 -v mariadb-data:/var/lib/mysql -d mariadb

mariadb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이후 influxdb와 mariadb 설정에 관해서는 이전 글들에서 확인하면 된다.
'Project > FE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MS] InfluxDB에 csv파일 업로드 하기 (0) | 2024.11.26 |
---|---|
[FEMS] HeidiSQL을 이용하여 MariaDB 조회하기 (0) | 2024.11.22 |
[FEMS] 외부 gitlab clone 받기 (0) | 2024.11.21 |
[FEMS] MariaDB 세팅하기 (1) | 2024.11.20 |
[FEMS] fastAPI, InfluxDB 연동하기 (0)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