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친절한 블로그
[Ubuntu] Apache 가상 호스트 설정 본문
지금 하려는 가상 호스트 설정을 통해 서버를 배포 하는데, 하나의 도메인에 여러개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려고 한다.
앞서 jenkins와 github를 연결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어서 설명한다.
[Jenkins] Jenkins와 github 연결하기!!
빌드 파일 없어서 실패!!
onu0624.tistory.com
미리 작상한 프로젝트를 git에 올리고 git에서 jenkins로 가져와서 빌드 후 조치로 서버에 올릴 것이다.
아이템 구성에서 git에 잘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빌드 커맨드에 yarn을 설치하고 build 명령어를 실행한다.
빌드 후 조치에 Send build artifacts over SSH를 통해 jenkins에 있는 프로젝트를 서버에 복사시킨다.
빌드 가자!
성공문구까지 확인하면 서버에 프로젝트가 이동되어 있을 것이다.
와우!
vi로 아파치 경로의 000-default.conf에 정보를 추가해준다.
80번 포트를 통해 들어와서 그 안에서 여러 포트로 나누고, 그중에 지금 테스트 하려는 포트는 60번 포트를 열어줘야하는데
iptables을 이용해서 accept을 했지만 포트가 열리지 않았다
sudo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60 -j ACCEPT
예제를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ports.conf
추가해주고, netstat -nap로 60포트가 LISTEN 상태인지 확인 후
아파치를 재부팅 시켜준다.
service apache2 restart
curl localHost:60 명령어로 60포트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동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Connection refused를 띄운다.
도메인으로 열어보면 내용을 입력하지 않아서 빈 화면이지만 React App으로 표시되면서
웹서버는 잘 작동한다.
'IT Infra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Linux][AWS] 서버 부팅시 서비스 자동실행 설정 (0) | 2021.01.08 |
---|---|
[Ubuntu][Linux]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 (0) | 2021.01.08 |
[Jenkins] Jenkins와 github 연결하기!! (0) | 2020.09.10 |
[Jenkins] 빌드유발 Build periodically (Crontab) (0) | 2020.08.03 |
[Jenkins] Ubuntu에 Jenkins 설치하기 (0) | 2020.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