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친절한 블로그
Y-델타 결선방법 본문
Y-델타 결선 방식은 삼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 전류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결선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전동기를 처음 기동할 때는 Y결선으로 시작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델타 결선으로 전환하여 정상 운전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 결선 방식은 특히 큰 기동 전류가 발생하는 대형 모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Y-델타 결선의 원리
Y-델타 결선은 모터 기동 시 발생하는 전류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초기 기동 전류를 약 1/3로 줄일 수 있습니다. Y 결선 상태에서는 전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기동 전류도 낮아집니다. 기동이 완료된 후 델타 결선으로 바꾸면 전압이 정상적으로 전달되며 모터가 정상 속도로 작동하게 됩니다.
Y-델타 결선 방법
Y 결선 단계:
모터의 세 코일을 Y형태로 연결합니다. 즉, 세 코일의 끝단(U2, V2, W2)을 서로 연결하여 중성점을 형성하고, 나머지 세 단자(U1, V1, W1)에 삼상 전원을 연결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각 코일에 걸리는 전압이 낮아지므로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류도 줄어듭니다.
이 단계에서 전동기가 서서히 회전하며 기동합니다.
델타 결선 단계:
모터가 어느 정도 회전 속도를 확보하면, 중성점 연결을 해제하고 세 코일을 삼각형 형태로 델타 결선합니다.
이때 각 코일은 삼상 전원과 직접 연결되므로 전동기가 정상 전압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델타 결선으로 전환되면 전동기가 정격 속도와 출력을 내며 정상 운전 상태에 들어갑니다.
Y-델타 전환 과정
타이머 설정: Y-델타 전환 방식은 주로 타이머를 통해 전환합니다. 초기 기동 후 설정된 시간에 따라 Y에서 델타로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접촉기 사용: Y-델타 결선은 3개의 접촉기(KM1, KM2, KM3)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KM1은 주 접촉기로, Y-결선과 델타 결선 모두에서 사용됩니다.
KM2는 Y 결선을 담당하며, 기동 시에만 활성화됩니다.
KM3는 델타 결선을 담당하며, Y-결선 단계가 끝난 후 활성화됩니다.
Y-델타 결선 장점
기동 전류 감소: 모터 기동 시 전류를 줄여 전원 공급 장치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합니다.
설비 보호: 기동 시 전류가 적게 흐르므로 배선 및 전력 설비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Y-델타 결선 주의사항
전환 시간 조절: Y에서 델타로 전환되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기동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고, 너무 길면 기동 시간이 길어져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모터 정격 확인: Y-델타 결선이 가능한 모터인지, 또한 정격 전압이 Y-델타에 적합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기동 충격: Y-델타 전환 시 순간적인 충격이 발생할 수 있어, 전환 시점에 부하가 많이 걸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Y-델타 결선은 대형 모터에서 기동 전류를 줄이고 설비를 보호하는 유용한 방법이지만, 결선과 전환 과정에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Etc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별기] 선별기 제조업 전망 (4) | 2024.11.12 |
---|---|
[AWS] AWS CLI 권한설정 (windows) (0) | 2023.12.19 |
[AWS] AWS CLI 사용해보기 (windows) (0) | 2023.12.19 |
[AWS] Access Key, Secret Access Key 생성하는 법 (0) | 2023.12.19 |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연습하기 (0) | 2022.05.31 |